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JSON형식의 response
- 화면정의서
- sendRedirect
- https://www.inflearn.com/course/lecture?courseslug=%ea%b9%80%ec%98%81%ed%95%9c%ec%9d%98-%ec%8b%a4%ec%a0%84-%ec%9e%90%eb%b0%94-%ea%b8%b0%eb%b3%b8%ed%8e%b8&unitid=194709&category=questiondetail&tab=community&q=1314387
- 피그마
- Forwarding
- Servlet
- Dispatcher
- Request
- 매핑 #
- 다형성 #부모타입 #자식타입
- https://www.inflearn.com/course/lecture?courseslug=%ea%b9%80%ec%98%81%ed%95%9c%ec%9d%98-%ec%8b%a4%ec%a0%84-%ec%9e%90%eb%b0%94-%ea%b8%b0%eb%b3%b8%ed%8e%b8&unitid=194690
- https://www.inflearn.com/course/lecture?courseslug=%ea%b9%80%ec%98%81%ed%95%9c%ec%9d%98-%ec%8b%a4%ec%a0%84-%ec%9e%90%eb%b0%94-%ea%b8%b0%eb%b3%b8%ed%8e%b8&unitid=194711
- 요구사항정의서
- POST방식
- CONTINUE
- Break
- Spring MVC
- xml
- webserver #WAS #ServerApp
- GET방식
- 톰캣
- while문
- WAS
- 김영한
- 한글깨짐
- Today
- Total
Step it up now
url 패턴 본문
@WebServlet으로 서블릿을 URL에 매핑할 때 사용 - 클래스 앞에
서블릿은 늦은 초기화를 사용한다
스프링은 이른 초기화를 사용한다. - 스프링은 서블릿을 발전시킨 것이다.
@WebServlet(urlPatterns={"/hello", "/hello/*"}, loadOnStartup=1)
미리 초기화를 해두고 싶은 서블릿에 붙일 수 있는 옵션임 - loadOnStartup
매핑 패턴 소개 - React Router사용하는 컨셉
아래 번호는 순번을 의미하므로 1번을 따져서 없으면 2번이 또 없으면 3번이 적용됨
1. exact mapping - /basic/hello.do -> http://localhost/basic/hello.do
2. path mapping - /basic/* ->
-> http://localhost/basic/hello.do
-> http://localhost/basic/hello
-> http://localhost/basic/
-> http://localhost/basic/test
3. extension mapping - *.do, *.gd
:확장자가 do로 끝나기만 한다면 내가 가로챌께
-> http://localhost/basic/hello.do
-> http://localhost/basic/login.do
-> http://localhost/basic/logout.do
4.default mapping - / - spring legacy 기본
:위에서 부터 따져보다가 어디에도 해당되지 않으면 디폴트가 적용됨
-> http://localhost/basic/hello.do
-> http://localhost/basic/hello
-> http://localhost/basic/
-> http://localhost/basic/test
스프링에서는 @RequestMapping이 제공된다 - 메소드 앞에온다
@Controller - 컨트롤계층의 역할을 맡게됨 - 어노테이션(@) - annotation
:자바에서는 Reflection API를 지원하고 있음
-> 힙 영역에 로드되어 있는 클래스 타입의 객체를 통해서 필드/메소드/생성자를
접근제어자와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API
-> 컴파일 시점이 아닌 런타임 시점에 동적으로 특정 클래스의 정보를
추출해 주는 프로그래밍 기법을 지원
-> 주로 프레임워크 또는 라이브러리 개발시 사용됨
예) Spring DI(dependency Injection), Test프레임워크(JUnit), JSON 라이브러리
'수업 > servlet, JS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Front Controller (2) | 2023.12.05 |
---|---|
req/res3) forwarding, request (1) | 2023.12.05 |
req/res2) Redirect (1) | 2023.12.05 |
req/res1) 클라이언트 - 서블릿 (1) | 2023.12.05 |
유효범위 (2) | 2023.12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