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Forwarding
- Break
- Request
- 요구사항정의서
- webserver #WAS #ServerApp
- 한글깨짐
- while문
- Servlet
- 김영한
- https://www.inflearn.com/course/lecture?courseslug=%ea%b9%80%ec%98%81%ed%95%9c%ec%9d%98-%ec%8b%a4%ec%a0%84-%ec%9e%90%eb%b0%94-%ea%b8%b0%eb%b3%b8%ed%8e%b8&unitid=194711
- 매핑 #
- xml
- 피그마
- 다형성 #부모타입 #자식타입
- 화면정의서
- POST방식
- https://www.inflearn.com/course/lecture?courseslug=%ea%b9%80%ec%98%81%ed%95%9c%ec%9d%98-%ec%8b%a4%ec%a0%84-%ec%9e%90%eb%b0%94-%ea%b8%b0%eb%b3%b8%ed%8e%b8&unitid=194690
- Spring MVC
- GET방식
- WAS
- https://www.inflearn.com/course/lecture?courseslug=%ea%b9%80%ec%98%81%ed%95%9c%ec%9d%98-%ec%8b%a4%ec%a0%84-%ec%9e%90%eb%b0%94-%ea%b8%b0%eb%b3%b8%ed%8e%b8&unitid=194709&category=questiondetail&tab=community&q=1314387
- Dispatcher
- CONTINUE
- JSON형식의 response
- 톰캣
- sendRedirect
- Today
- Total
Step it up now
aws(1) 본문
- AWS의 svr1과 svr2에 ssh 이용하여 접속하기
PC> ssh -i 키파일 ubuntu@svr1의IP주소
svr1에 접속 후
svr1> ssh -i 키파일 ec2-user@svr2의IP주소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- NAT Gateway
private subnet의 EC2들이 외부(인터넷)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서비스
NAT Gateway 생성 : public subnet에 위치해야하고, 탄력적IP주소를 할당받아서 생성함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- private subnet에 있는 EC2에 도커 설치(Amazon Linux 2)
# sudo amazon-linux-extras install docker
# sudo service docker start
# sudo usermod -a -G docker ec2-user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- SSH 서비스 : 원격에서 명령을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.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암호화됨.
TCP 22번.
openssh 패키지를 사용함.(서버프로그램/ 클라이언트 프로그램)
- openssh 서버 프로그램 설치 : sudo apt install openssh-server
sudo dnf install openssh-server
- SSH 인증방식 : 패스워드 인증, 공개키 인증
1) 패스워드 인증 : ID/PW 인증
2) 공개키 인증 : ID/SSH키(개인키) 인증
공개키 알고리즘(rsa, dsa 중에 rsa 사용함)
3) SSH키 생성 : ssh-keygen -t rsa -b 2048
키저장 위치와 파일명 지정할 수 있음.
passphrase를 설정할 수 있음. => SSH키를 보호하기 위한 비밀번호
4) SSH키 기본생성위치 : ~/.ssh => 사용자의 홈디렉토리에 .ssh 디렉토리 생성됨.
5) SSH키를 기본값으로 생성시
id_rsa(개인키) id_rsa.pub(공개키)
6) openssh 서버는 공개키를 authorized_keys에 보관함.
7) SSH는 SSH키를 이용해서 세션키(대칭키,비밀키)를 교환하고, 교환된 세션키를
이용해서 사용자데이터를 암복호화 함.
- SSH 접속 : 1) 패스워드 인증
ssh 사용자ID@서버IP주소
password:
2) 공개키 인증
ssh -i 개인키 사용자ID@서버IP주소
- scp 이용한 파일 복사
1)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복사하기
scp -i 개인키 복사할파일명 사용자ID@서버IP주소:복사할위치
scp -i kyt_keypair.pem testfile ubuntu@서버IP주소:/home/ubuntu
2)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복사하기
scp -i 개인키 사용자ID@서버IP주소:복사할파일위치/파일명 복사될위치
scp -i kyt_keypair.pem ubuntu@서버IP주소:/home/ubuntu/testfile .
- 공개키를 원하는 서버에 복사하기
ssh-copy-id 공개키 사용자ID@서버IP주소
- ssh 패스워드 인증 가능하도록 설정 변경
sudo vi /etc/ssh/sshd_config
PasswordAuthenticatio yes 로 변경하고 저장
sudo passwd 사용자ID => 사용자의 패스워드 설정
sudo systemctl restart sshd => ssh 서비스 재시작